후설 비원순 고모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설 비원순 고모음은 혀의 뒷부분을 연구개에 가깝게 위치시키고, 입술을 둥글게 하지 않으면서 혀의 높이를 고모음 위치로 하여 발음하는 소리이다. 국제 음성 기호로는 [ɯ]로 표기되며, 한국어의 'ㅡ'(/ɯ/)를 비롯하여 일본어, 중국어, 튀르키예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후설 비원순 고모음 | |
---|---|
음성학적 정보 | |
IPA 기호 | ɯ |
IPA 번호 | 316 |
십진수 | 623 |
X-SAMPA | M |
키르셴바움 | u- |
![]() |
2. 특징
- 혀의 위치를 닿소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최대한 뒤로 해서 발음하는 후설 모음이다.
- 혀의 위치를 닿소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최대한 높게 해서 발음하는 고모음이다.
- 입술을 둥글게 하지 않고 발음하는 비원순 모음이다.
2. 1. 음성학적 특징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ɯ]로 표기된다. 음성학적으로는 후설 모음, 고모음, 비원순 모음에 속한다.3. 언어별 사용
비원순 후설 고모음은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언어 | 철자 | IPA | 뜻 |
---|---|---|---|
태국어 | ขึ้น | [kʰɯn˥˩] | 올라가다 |
베트남어 | tư | [tɯ] | 네 번째의 |
스코틀랜드 게일어 | caol | [kʰɯːl̪ˠ] | 가는, 얇은 |
투르크멘어 | ýaşyl | [jɑːˈʃɯl] | 초록의 |
키르기스어 | кыз | [qɯz] | 소녀 |
위의 표 외에도, 아체어(eu, [ɯ], 보다)[2], 아제르바이잔어(bahalı, [bɑhɑˈɫɯ], 비싼), 영어의 일부 방언(hook, [hɯ̞k], 갈고리), 튀르키예어(ılık, [ɯˈɫɯk], 따뜻한) 등에서도 비원순 후설 고모음이 사용된다.
3. 1. 한국어
한국어의 'ㅡ'(/ɯ/)는 대표적인 비원순 후설 고모음이다. '음식'(IPA: [ɯːmɕ͈ik̚]), '그'([kɯ])와 같은 단어에서 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2]3. 2. 일본어
일본어의 'う'(/u/)는 /ɯ/ 발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규슈 방언에서 두드러진다. 일본어의 /u/는 엄밀하게는 비원순 후설 고모음([ɯ])이 아니지만, 입술 둥글기가 약한 [ɯᵝ] 또는 [u̜]로 기술되기도 한다.예시:
- 공기(空気) ([kɯːki]) (규슈 방언: [kʲɯ̹ːɕɯ̹ː])
3. 3. 중국어
3. 4. 기타 언어
- 아체어에서 'eu'는 [ɯ]로 발음되며, '보다'라는 뜻을 가진다. 때로는 [ɨ]에 더 가깝게 묘사되기도 한다.[2][3][4]
- 아제르바이잔어에서 'bahalı'([bɑhɑˈɫɯ])는 '비싼'이라는 뜻이다. [ɘ]에 더 가깝게 발음되기도 한다.[6]
-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caol'([kʰɯːl̪ˠ])은 '가는', '얇은'이라는 뜻을 가진다.
- 투르크멘어에서 'ýaşyl'([jɑːˈʃɯl])은 '초록의'라는 뜻이다.
- 키르기스어에서 'кыз'([qɯz])는 '소녀'라는 뜻을 가진다.
- 영어의 일부 방언에서 'hook'([hɯ̞k])은 '갈고리', 'goose'([ɡɯˑs])는 '거위'를 뜻한다.
- 튀르키예어에서 'ılık'([ɯˈɫɯk])는 '따뜻한'이라는 뜻이다.
- 베트남어에서 'tư'([tɯ̄])는 '네 번째'라는 뜻이다.
4. 추가 정보
비원순 후설 고모음은 음성학적으로 다양한 변이음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일부 방언(흑인 영어, 타이드워터 억양)에서는 근접 고모음([ɯ̞])으로 실현되기도 한다.[5] 남아프리카 영어에서도 /l/의 연구개화된 변이음 앞에서 /ɪ/의 가능한 변이음으로 근접 고모음 [ɯ̞]가 나타난다. 포르투갈어(유럽)에서도 축약된 모음으로 근접 고모음 [ɯ̞]가 나타난다.
한국어의 'ㅡ'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표준 발음 ɯː로 널리 사용되며, 한국어 교육 및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조
[1]
문서
While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prefers the terms "close" and "open" for [[vowel height]], many linguists use "high" and "low".
[2]
논문
Proto-Chamic and Acehnese Mid Vowels: Towards Proto-Aceh-Chamic
http://www.acehinsti[...]
[3]
논문
The Agreement System in Acehnese
https://web.archive.[...]
2012-05-21
[4]
논문
Acehnese Coda Condition: An Optimality-Theoretic Account
http://roa.rutgers.e[...]
2003-01
[5]
간행물
NZE Phonology
https://www.wgtn.ac.[...]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6]
문서
[7]
문서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